본문 바로가기
퇴직금 & 연금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 공개! 조기·연기수령별 차이와 늘리는 꿀팁까지

by 머니내비 50 2025. 8. 11.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 공개! 조기·연기수령별 차이와 늘리는 꿀팁까지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했습니다. 조기수령과 연기수령별 차이, 예상 수령액 계산법, 수령액을 늘리는 꿀팁까지 총정리해 드립니다

국민연금공 홈페이지 이미지

 

국민연금은 ‘얼마를 내느냐’보다 ‘언제부터, 얼마 동안 내느냐’가 훨씬 중요한 제도입니다.
월 몇 만 원 차이로 끝나는 게 아니라, 수십만 원 차이가 평생 지속될 수 있죠.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을 시작으로,
조기수령·연기수령 시 변화, 가입기간별 수령액 차이, 수령 시기·신청 방법,

그리고 수령액을 늘리는 전략까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1. 국민연금 기본 구조

국민연금은 내가 일할 때 낸 보험료를 노후에 매월 연금으로 돌려받는 제도입니다.
직장인·자영업자·무소득자까지, 형태는 다르지만 대부분의 국민이 가입 대상입니다.

  • 목적: 은퇴 후 안정적인 노후 소득 보장
  • 운영 주체: 국민연금공단(NPS)
  • 가입 대상: 만 18세 이상 ~ 만 60세 미만(의무가입)
  • 보험료율: 소득의 9% (직장가입자 회사 4.5% + 본인 4.5%, 지역가입자 전액 본인 부담)
  • 수령 시작 연령: 현재 1969년생 기준 만 63세, 2033년 이후 만 65세까지 상향

💡 : "내 예상 수령액이 얼마인지" 바로 확인하면 가입기간·수령 시기를 전략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 모의계산

 

🔜 “나는 지금 얼마 받을 수 있을까?”라는 궁금증이 들 때, ‘국민연금 예상조회’  바로 가기 🖲️

 

2.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법

 

국민연금은 기본연금액 + 부양가족연금액으로 계산됩니다.
아래 공식만 알아두면, 내가 어느 정도 받을지 감이 옵니다.

 

① 기본연금액 공식

기본연금액 = A값 × (1.5 + 가입기간 × 0.5%) + (B값 × 가입기간 × 0.5%)
  • A값: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월액 (2025년 기준 약 2,980,000원)
  • B값: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
  • 가입기간: 납부 개월 수

예시

  • A값: 2,980,000원
  • B값: 2,500,000원
  • 가입기간: 30년(360개월)
= 2,980,000 × (1.5 + 30 × 0.5%) + (2,500,000 × 30 × 0.5%) = 약 1,540,000원 / 월

 

 

② 부양가족연금액 (2025년 기준)

  • 배우자: 26,020원
  • 자녀(19세 미만) 또는 60세 이상 부모: 17,350원

 

💰 예상 월 수령액

위 예시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 기본연금액: 약 1,540,000원
  • 부양가족연금액(배우자 1명): 약 26,020원

👉 총 월 수령액은 약 1,566,020원이 됩니다.

여기서 부양가족이 더 있다면 금액은 그만큼 늘어납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와 부모 1명을 부양하는 경우에는 약 1,583,370원을 받게 됩니다.

 

📌 위 수치와 계산식은 국민연금법 시행령 및 국민연금공단 고시에 따라 산정한 것이며,

실제 예상연금액 서비스와 동일한 결과 구조입니다.
다만, 실 개인의 B값(평균소득월액)과 부양가족 수에 따라 최종 금액은 달라집니다.

 

월 예상 수령액

 

3. 국민연금 조기수령 & 연기수령 전략

 

연금을 받을 시기를 조정하면 금액이 달라집니다.
생활 상황과 건강 상태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① 조기수령(조기노령연금)

  • 조건: 가입 10년 이상, 정상 수령 연령보다 최대 5년 앞당김
  • 감액: 1년당 6%씩, 5년이면 총 30% 감액
  • 예: 100만 원 → 70만 원

② 연기수령(연기노령연금)

  • 조건: 정상 연령 이후 최대 5년 연기 가능
  • 가산: 1년당 7.2%, 5년이면 36% 인상
  • 예: 100만 원 → 136만 원

💬 전략 팁:

  • 당장 생활비가 필요하면 조기수령
  • 장수 예상 & 현재 소득이 있다면 연기수령이 유리

 

4. 국민연금 가입연령·기간별 수령액 차이

가입 시기가 빠를수록, 가입 기간이 길수록 유리합니다.

 

시작 나이 가입 기간 월평균소득 250만원 기준 예상 수령액
25세 35년 약 170만원
35세 25년 약 130만원
45세 15년 약 90만원
※ 물가상승률, 평균소득월액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5. 국민연금 ‘언제부터’, ‘얼마’ 받는지 확인 방법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내 국민연금 알아보기’ (공동인증서 로그인)
  2.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3. ARS: 1355 → 4번 ‘예상연금액 안내’

: 모바일 앱에서 조회하면 더 빠르고, 캡처 저장과 시뮬레이션으로 내 상황별 비교가 가능

 

내 국민연금 알아보기(공동인증 필요)

 

🔜 “내 국민연금이 얼마인지 알아보고 싶다”면, '내 국민연금 알아보기'바로 가기🖲️

 

6. 국민연금 신청 방법과 수령 방법

 

① 언제 신청하나요?

  • 연금 받을 나이 1개월 전부터 신청하면 됩니다.
    예) 63세부터 받는다면, 62세 11개월에 신청

② 어디서 신청하나요?

  •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 홈페이지(공인·간편 인증)
  •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 우편·팩스도 가능

③ 뭘 준비하나요?

  • 신분증
  • 본인 통장 사본
  • 부양가족이 있으면 가족관계증명서

④ 언제, 어떻게 받나?

  • 매달 25일, 지정 계좌로 입금
  • 25일이 휴일이면 하루 앞당겨 지급

⑤ 꼭 기억할 것

  • 신청 안 하면 자동으로 안 나옵니다.
  • 수급권 생기고 5년 안에 신청해야 합니다.
  • 부양가족이 있으면 꼭 서류 제출해서 추가 금액 받기

 

💡 한 줄 팁
모바일 앱으로 신청하면 지사 안 가고 집에서 10분 만에 끝납니다.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7.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3가지 방법

 

① 가입 기간 늘리기

  • 오래 낼수록 많이 받습니다.
  • 60세 이후에도 원하면 65세까지 계속 가입할 수 있어요(임의계속가입).
  • 예전에 못 낸 기간이 있으면 추가 납부(추납)로 채울 수 있습니다.

② 크레딧 제도 활용하기

  • 국가에서 가입 기간을 ‘보너스’로 더해주는 제도입니다.
  • 출산, 군 복무, 실업이 해당됩니다.
  • 조건이 맞으면 꼭 신청하세요. 가입 기간이 자동으로 늘어납니다.

③ 연기해서 받기

  • 연금을 늦게 받으면 매년 7.2%씩 더 받습니다.
  • 최대 5년까지 늦출 수 있어요(최대 36% 인상).
  • 당장 생활비가 필요 없으면 연기 수령이 유리합니다.

💡 한 줄 팁
가입 기간을 늘리고, 크레딧을 챙기고, 연기를 활용하면 연금이 확실히 늘어납니다.

 

8. 마무리

 

국민연금은 단순히 “얼마 내고, 언제 받느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가입 기간, 수령 시기, 추가 제도 활용에 따라 평생 받을 금액이 크게 달라집니다.

 

오늘 알려드린 계산법과 조기·연기수령 전략, 그리고 수령액 늘리는 방법을 참고하셔서
지금 바로 내 예상 연금액을 확인해 보세요.
확인해 보면 “언제 받는 게 유리한지, 더 받을 방법이 있는지”가 금방 보입니다.

 

👉 지금 바로 예상연금액을 확인해 보고, 내 상황에 맞는 설계를 시작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