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 재테크

2025 고금리 특판 예금 비교표 – 은행별 금리·조건 한눈에

by 머니내비 50 2025. 8. 10.

2025 고금리 특판 예금 비교표 – 은행별 금리·조건 한눈에

 

 

2025년 하반기,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에서 다양한 고금리 특판 예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특판 예금은 한정 기간·한정 금리로 제공되는 이벤트성 상품으로, 보통 일반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높습니다.
특히 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시점에 특판 예금을 활용하면, 향후 1년간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8월 현재 판매 중인 고금리 특판 예금을 은행별로 정리하고, 금리·가입 조건·중도해지율까지 한눈에 비교해 드립니다.

 

 

금리와 금융 성장 <핀테레스트>

 

 

 

 

1. 고금리 특판 예금이란?

  • 은행이 특정 기간 동안 한정 판매하는 고금리 정기예금
  • 가입 한도, 판매 기간, 금리가 제한적
  • 신규 고객 유치, 자금 유입 목적
  • 금리 인상기보다 금리 하락기에 더 주목받음

 

 

 

2. 2025년 8월 현재 주요 특판 예금 현황

  • 시중은행: 주로 창립기념·분기 이벤트 시 출시
  • 저축은행: 신규 고객 대상 비대면 특판 상품 활발
  • 인터넷은행: 앱 전용 한정 금리 제공

 

 

 

3. 은행별 금리·조건 비교표


은행 / 금융기관 상품명 또는 특성 금리 (연)  출처 및 특이사항
목포우리신협 등
상호금융
정기예금 특판 약 3.3%~3.6% 목포우리신협 3.3%, 창원우리신협 3.5%, 원예농협 3.6% 등 (조선일보, 네이트뉴스)
저축은행 전체 평균 정기예금 수익률 약 3.00% 저축은행중앙회 기반 수치
(한국경제, 조선일보)
저축은행
(일부 특판상품)
파격 특판 예금 최대 20% OK저축은행 'OK읏수저적금', 일부 연 20% 상품
(뉴데일리)
상호금융 틈새 고금리 상품 약 3%대 기준금리 하락 대비 상호금융 특판 시장 부각
(조선일보)
일반 시중은행 평균 정기예금 금리 약 2% 중반대 BNK부산은행 정기예금 기준
(조선일보)
저축은행 금리
구간형 상품
수시입출금 상품
(3000플러스통장 등)
최대 3.0%,
구간별 차등 적용
3000만원 이하 연 3.0% (이상 금액은 낮아짐)
(한국경제)

 

요약정리

  • 가장 높은 금리를 주는 것은 일부 저축은행의 특판 적금 상품으로, 연 20% 수준까지 확인됨.
  • 상호금융(신협·농협 등)도 시중은행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연 3%대 특판 예금을 제공 중.
  • 저축은행 평균 금리3% 정도로, 일반 은행(2%대)과 비교 시 매력적.
  • 구간별 차등금리 수시입출금 상품도 활용 가치 있음 (3.0% 수준).
 
<핀테레스트>

 

 

 

4. 특판 예금 가입 시 주의사항

  1. 판매 기간: 조기 마감 가능 → 신청 전 판매 여부 확인 필수
  2. 금리 조건: 우대금리 적용 요건(급여이체, 카드 사용 등) 확인
  3. 가입 채널: 모바일·영업점 전용 여부 확인
  4. 예금자보호 여부: 예금자보호 대상 상품인지 반드시 확인

 

 

 

5. 중도해지 시 이자 계산 예시

  • 예: 12개월 만기 5% 특판 예금 1천만 원 가입 후 6개월만 해지
    → 적용 금리 0.8%로 재계산, 이자 수익 크게 감소
  • 결론: 특판 예금은 만기 유지 전제로 가입해야 수익 극대화 가능

 

 

 

6. 특판 예금 알림·예약 가입 팁

  1. 은행 앱 알림 ON
  2. 금융 커뮤니티·블로그 구독
  3. 저축은행중앙회 공시 활용 – 특판 출시 정보 빠르게 확인 가능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 특판 예금은 누구나 가입할 수 있나요?
    A. 일부 상품은 신규 고객 전용 또는 지역 제한이 있습니다.
  • Q. 특판 예금도 예금자보호 대상인가요?
    A. 대부분 그렇지만, 상품별 약관에서 확인 필요합니다.
  • Q. 여러 은행의 특판 예금을 동시에 가입해도 되나요?
    A. 가능합니다. 예금자보호 한도 내에서 분산 가입 권장.

 

 

 

마무리 

고금리 특판 예금은 한정된 기간 동안만 가입할 수 있는 기회이므로, 금리 조건과 예금자보호 적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 뒤 가입해야 합니다.

 

 

👉 다음 읽기 추천: [2025 예금자보호 한도 1억 원 – 적용 범위 총정리]